티스토리 뷰
반응형

남미의 청과시장엔
이상하게 생긴 과일들이 너무 많고
이름도 복잡다양하다.
호기심은 가지만
잘 모르면
선뜻
사먹기가 쉽지 않다.
주요 과일들의
스페인어 이름과 특징을 정리해 본다.
***
(남미 과일 이름 총정리)
과일 이름 | 사진 | 특징 |
Aguacate (아과까떼) |
![]() |
Avocado(아보까도)로 잘 알려진 과일. 남미에선 Aguacate로 많이 불린다. 살이 연하고 녹색이며 지방이 많은데 대부분 몸에 좋은 불포화지방산이라는... 와사비간장을 찍어 먹으면 참치회 맛도 나지만 느끼해서 많이 먹을 수는 없다. |
Anona (아노나) |
![]() |
Chirimoya와 모양은 약간 다르지만 같은 종의 과일이다. 안데스 지역의 특산 과일로 에콰도르, 페루, 칠레에서 많이 난다. |
Banano (바나노) |
![]() |
바나나 나무의 줄기는 한송이 바나나를 내놓고는 시들어 죽는다. 하지만, 뿌리에선 다시 새순을 내놓아 다음해에 다시 풍성한 바나나를 생산한다. 에콰도르에선 주식이나 마찬가지이다. 과알 바나나보다 채소로 분류되는 녹색의 플란타노(Plantano) 바나나를 더 많이 소비한다. |
Carambola (까람볼라) |
![]() |
별모양의 이 과일은 남미 뿐 아니라 동남아에도 많이 난다. 껍질이 얇고 살은 아삭거리는 포도씹는 느낌이 나며 물이 많다. 대부분 단맛이지만, 종류에 따라 신맛 나는 것도 있다. 그냥 먹거나 주스 또는 요리로 만들기도 한다. |
Chirimoya (치리모야) |
![]() |
안데스 고산지대서 자라는 남미 특산과일이다. Cherimoya라고도 부르는 이 과일은 살이 흰색으로 연하고 달다. 맛은 바나나, 파인애플, 복숭아, 딸기의 맛을 합친 것 같거나 풍선껌 씹는 맛이기도 한 아주 묘한 맛이다. 조직은 셔벳을 먹는 느낌이 나서 그런지 영어로는 Custard Apple이라고 부른다 |
Ciruela (씨루엘라) |
![]() |
자두를 씨루엘라라고 한다. |
Coco (꼬꼬) |
![]() |
남미와 동남아에서 흔히 볼 수 있는 야자열매 코코넛. 중심에 고여 있는 주스를 마신 후 하얀색 살은 케익 등을 만드는데 쓰인다. |
Durazno (두라스노) |
![]() |
우리나라 복숭아와 맛이 거의 같다. 크기는 다소 작다 |
Fresa (프레사) |
![]() |
시장이나 수퍼에서 팔리는 에콰도르산 딸기는 신선 그 자체이다. 크기도 적당하고 살이 단단하며 깨끗하고 맛있다. 포장된 것도 있지만 그냥 쌓아놓고 골라가도록 해서 좋다. |
Granada (그라나다) |
![]() |
석류를 그라나다라고 한다. |
Granadilla (그라나디쟈) |
![]() |
역시 안데스 고산지대에서 나는 남미 특산과일이다. 꼭지달린 수류탄처럼 생겼고 색깔은 오렌지 색이지만 껍질을 누르면 부서질정도로 딱딱하다. 맛은 약간 시면서 밍밍하고 속은 개구리알같이 보여 맛을 즐기려면 남미의 내공이 쌓여야 한다. |
Guanabana (과나바나) |
![]() |
적도근처의 고온 다습한 지대에서 생산되는 중남미 특산과일이다. 과나바나의 맛도 한마디로 표현하기 힘들다. 파인애플과 딸기에 우유를 섞은 맛이라는게 중평이다. 보통 잼이나 주스로 만들어 먹는다. |
Guayaba (과야바) |
![]() |
미국, 중남미 북부, 인도 등 아시아 일부에서만 생산됨. 비타민 A가 많은 과일로 단맛은 약해서 설탕을 쳐서 생으로 먹거나 보통은 잼이나 주스를 만들어 먹는다. 콜롬비아가 최대 생산국인데 국내소비가 너무 많아서 수출을 많이 못한다는... |
Higo (이고) |
![]() |
지중해, 중동, 멕시코, 페루 등이 주산지인 무화과가 에콰도르에서 재배된지는 얼마 안된다. 수출과 농촌소득 증대를 목표로 2000년대 들어 재배를 시작해 생산량은 많지 않다. 주로 말려서 간식이나 디저트용으로 먹는다. |
Kiwi (키위) |
![]() |
키위는 스페인어로도 키위다. |
Limon (리몬) |
![]() |
우리가 잘 아는 레몬이다. 너무 시어서 요리용이나 주스로 만들어 먹는다. 식당에서 많이 마시는 주스 중의 하나다. |
Mandarina (만다리나) |
![]() |
귤을 만다리나라고 한다. |
Mango (망고) |
![]() |
망고는 남미 뿐 아니라 동남아 등에서도 많이 나고 맛과 향이 좋아서 누구나 좋아하는 열대과일이다. 특히 에콰도르의 대표적 과일이며 수출품이다. 이곳의 10월에서 다음해 2월까지 망고 수확철이 되면, 고속도로변이나 집마당에 망고가 감나무 처럼 주렁주렁 열린다. 껍질이 붉고 노르스름한 색깔로 잘 익어야 맛이 있으며 익지 않은 것은 떫다. 또 너무 익히면 살이 물처럼 녹아버린다. 망고는 옻나무과라서 너무 많이 먹으면 체질에 따라 알레르기를 일으키기도 한다. |
Mangosteen (망고스뗀) |
![]() |
이름은 비슷하지만 망고와는 전혀 관련이 없는 열대과일이다. 동남아가 원산지이지만 남미에서도 많이 재배된다. 껍질은 보라색이고 살은 흰색으로 귤조각처럼 나눠지며 맛은 새콤하면서 약간 떫은 맛도 난다. 열을 내리는 효과가 있어서 열을 올리는 과일인 둘리앙과 같이 먹으라는 사람도 있다. 둘리앙의 맛은 너무 흉칙해서 여기엔 소개하지 않는다 |
Manzana (만사나) |
![]() |
에콰도르의 사과 맛은 우리나라 부사와 거의 같다. 하지만 우리나라 사과처럼 크기가 아주 큰 것은 없다. 철에 따라 위 사진에 나오는 3종의 사과를 맛볼 수 있다. |
Maracuya (마라꾸야) |
![]() |
Maracuya의 속은 Granadilla와 흡사하다. 아마존 지역이 원산지이다. 진통진정 효과가 있어서 하루에 한두잔 차로 마시면 숙면을 취할 수 있다는... 섬유질이 많아 장에 좋으며 지방을 제거하는 효과가 있어 다이어트 식품으로도 인기다. |
Melon (멜론) |
![]() |
멜론은 스페인어로도 멜론이다. |
Mora (모라) |
![]() |
우리나라의 산딸기, 복분자와 유사하여 주스로 많이 먹는다. |
Naranja (나란하) |
![]() |
세계 어디서나 흔히 볼 수 있는 오렌지를 나란하라고 한다 |
Naranjilla (나란히쟈) |
![]() |
아마존 원산의 에콰도르 전통과일로 '작은 오렌지'란 뜻이다. 녹색껍질이 오렌지색으로 바뀌면 익은 것인데 익지 않는 것은 너무 시어서 먹을 수 없다. 주로 주스, 아이스크림으로 만들어 먹고, 음료나 술 제조용으로도 사용된다. |
Pera (뻬라) |
![]() |
남미의 배는 조롱박 모양인데 살은 푸석푸석하고 맛이 별로다. 한국의 맛있는 배를 생각하면 오산이다. 고기양념할 때 사용하면 제격이다. |
Piña (삐냐) |
![]() |
파인애플, 스페인어로는 삐냐라고 한다 |
Pitahaya (삐따아야) |
![]() |
전투용 수류탄처럼 개성있게 생겼다. 선인장 열매로 비가 적고 기온이 높은 지역에서 생산된다. 살은 희고 달다. 조그만 검은 씨가 촘촘히 섞여 있다. 장 운동을 활발하게 하는 성분이 있어서 소화에 도움이 되지만 너무 많이 먹으면 설사를 할 수도 있다. |
Pitahaya Roja (삐따아야 로하) |
![]() |
앞의 노란색 Pitahaya 와 거의 같은 과일이다. 이런 과일들은 익으면 금방 상하므로 냉장보관해야 한다. |
Plantano (플란타노) |
![]() |
과일이 아닌 채소로 분류된다. 일반 바나나와 똑같이 생겼는데 색깔만 녹색이다. 그냥 생으로 잘 안 먹고 굽거나 튀기고 찌는 등 요리해서 먹는다. |
Rambutan (람부딴) |
![]() |
동남아 원산이지만 지금은 남미에서도 재배된다. 식당에서 디저트용 과일로 많이 쓰인다 |
Kiwano (키와노) |
![]() |
아프리카가 원산지인 과일로 살은 녹색이며 바나나, 오이, 레몬을 섞은 묘한 맛이다. 비타민 C와 섬유질이 많다 |
Sandía (싼디아) |
![]() |
수박. 남미의 수박은 싸지만 대체로 푸석푸석하고 맛이 없다. |
Tomate de Arból (또마떼 데 아르볼) |
![]() |
안데스 고산지대의 전통과일이다. '나무토마토'란 뜻인데 Tomarillo(또마리죠)라는 이름으로 불리기도 한다. 스푼으로 속을 떠먹기도 하지만 대부분 주스를 만들어 먹는다. |
Taxo (탁쏘) |
![]() |
Curuba(꾸루바)라고도 불리는 크고 길쭉한 과일로 안데스 고냉지 에서 주로 재배된다. 속은 달콤한 알갱이로 이뤄져 있다 |
Toronja (또론하) |
![]() |
자몽. 그냥 먹기는 좀 시어서 주스를 만들어 먹는다. 비타민 C가 많아서 감기 걸렸을 때 좋다. |
Papaya (빠빠야) |
![]() |
망고와 파인애플 다음으로 생산량이 가장 많은 열대과일이다. 인도, 브라질, 인도네시아, 나이지리아, 멕시코 등이 주요 생산국이다. 잘 익은 것을 사지 않으면 별로 맛이 없다. 하지만, 콜롬버스가 "천사의 과일"이라고 불렀을만큼 영양소가 많아서 심장병이나 소화기 등 건강에 좋은 과일이다 |
Uva (우바) |
![]() |
포도를 우바라고 한다. |
Zapote (사뽀떼) |
![]() |
자몽정도의 크기인데 갈색 껍질을 까면 오렌지색 과육이 나온다. 식감은 아보카도처럼 부드럽고 달기는 무화과 정도이다. 씨앗은 먹지 못하지만 화장품 원료로 사용된다. 동영상을 통해 까먹는 방법 을 알아보자. (까먹는 방법) |
반응형
'스페인어 기초단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페인어 단어] 필수 형용사 반대말 총정리 (2) (0) | 2022.02.21 |
---|---|
[스페인어 단어] 필수 형용사 반대말 총정리 (1) (0) | 2022.02.21 |
[스페인어 단어] 쇠고기, 돼지고기, 닭고기 등 육류의 부위별 명칭 총정리 (0) | 2022.02.20 |
[스페인어 단어] 에콰도르의 전통음식 이름과 특징 (0) | 2022.02.14 |
[스페인어 기초단어] 가장 많이 쓰이는 100 단어 (0) | 2020.06.13 |
댓글
공지사항